대외활동
3 posts
(폴리텍학생기자단) AI소프트웨어과 기업 간담회 후기

6월 12일 한국폴리텍대학 진주캠퍼스 AI소프트웨어과에서 진행된 AI소프트웨어과 기업 간담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행사는 AI소프트웨어과 학생들이 팀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진주 지역의 여러 개발 회사들이 참여하여 학생들의 결과물을 보면서 질문시간을 가지고, 기업분들은 자신들의 회사를 소개하는 발표후 학생들의 질문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 학생이 본인 팀이 만들고 있는 키오스크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습) 이번 행사는 학생측에서 얻을게 정말 많은 기회의 장이었다. 팀프로젝트를 진주지역의 거의 모든 개발회사의 이사나 대표님들 앞에서 발표하면서 실력을 어필할 수 있는 기회이자, 실제로 개발을 진행하게 될 때, 어떤 식으로 프로덕트가 기획되고 발표를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작은 실전의 기회이기도 했다. 5분이라는 시간동안 최대한 중요한 포인트들을 짚어가면서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연습은 살면서 폴리텍대학에 왔기에 해볼 수 있는 경험이었지 않나 싶다. (기업관계자 분…

(폴리텍학생기자단) 개발자 취직 코딩학원 vs 폴리텍대학, 어느 쪽이 유리할까?

고민하게 된 계기 대학교 막바지 무렵, 학교를 다니면서 비교과 과목이나 취업지원제도의 국비지원 교육을 통해 코딩을 배우기 시작했다.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국비교육들은 깔짝 맛만보는 수준이었기에 매우 기초적인 개념을 배우는 정도와 클론코딩 정도의 수업을 들은 정도여서 프로그램이 어떤 구조로 동작하는지 이해할수도 없었고 실무에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들의 사용법을 익힐 수도 없었다. 국비지원 수업들을 통해 느낀 점은 100% 무료로 들을 수 있는 단기 과정들은 깊이가 부족해서 전혀 취업에 도달할 정도의 실력을 쌓을 수 없는 정부의 눈먼돈 타먹기 같다는 것이었다. 결국 취업시장에 뛰어들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만들기 위해선 정부가 비용의 일부분을 지원해주지만 수백만원의 자기부담금이 필요한 코딩 학원 혹은 유료부트캠프 에서 1년 이상의 시간동안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취업 후 상환 방식으로 다닐 수 있는 부트캠프도 있었지만 유명 부트캠프들은 서울에서 자취를 해야만 다닐 수 있는 …

경상대학교 글로벌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참여

캡스톤디자인 주제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스킨케어 제품 기획 및 제작 맡은 역할 시장조사 및 자료조사 단계 인기 시제품 전성분표 분석 제품 방향성 기획 및 PPT 제작 프로젝트 기획 프레젠테이션 발표 프로토타입 제작 단계 화장품 원재료 배합비율 연구 및 테스트 미세플라스틱 대체 성분 관련 논문 리서치 제품 테스트 및 완성 단계 제품 피부 테스트 및 세정력 개선 작업 배합비율 조절을 통한 사용감 개선 작업 완제품 샘플 제조 및 프로젝트 결과 PPT 제작 프로젝트 심사 프레젠테이션 발표 제품 제작 트러블슈팅 경험 첫 방향성은 친환경 비누 제품을 밴치마킹하여 만드는 것이었지만, 이미 시장에 포지셔닝이 완료된 제품이고 사람들이 편안하고 익숙한 클렌징폼 제품들 대신 환경을 위해 비누를 사용하도록 설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아 보였기에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었다. 클렌징폼과 유사한 사람들에게 익숙한 제형과 사용감 그리고 피부타입을 고려한 제품선택권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 비누 제품들…